강북구 HPV 예방접종

목차 숨기기

유두종 바이러스 예방접종

황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0-245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105길 7, 201, 202호 (번동, 주공1단지)

북부성모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99-717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152, (수유동)

푸른성모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2-990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118, JK빌딩 지층,2, 3, 5층 (수유동)

조한표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0-6909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088, 2층 (수유동, 현진빌딩)

예일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99-552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000, 2층 (번동)

유성현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3-6609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 18, (미아동)

한사랑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45-505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 142, (수유동, 수유동 근생빌딩)

구앤서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5-7737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오현로32길 3, 2층 (번동)

삼성드림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8-828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오현로 193-0, 3층 (번동, 한성빌딩)

정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7-7533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오패산로52길 39, 1층 (미아동)

나눔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986-857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오패산로30길 30, 204,205,206,209,210,211,212호 (미아동, 경남아너스빌)

지안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3-683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솔샘로 233, 308호 (미아동, 동북미아프라자)
  • 홈페이지: http://cafe.daum.net/jianotolaryngology

연세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1-827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솔샘로 203, 2층 (미아동)

추재학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4-872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솔샘로 184, 119호 (미아동, SK북한산시티아파트상가 )

서울하나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6-751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솔샘로 184, 107,108호 (미아동, SK북한산시티아파트주상가)

강북삼성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0-8767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77가길 9, 3층 (수유동)
  • 홈페이지: www.kangbsclinic.com/

미래아이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5-7533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27길 35-21, 302,303호 (미아동, 미아프라자)

닥터맘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2-867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27길 35-21, (미아동)
  • 홈페이지: http://www.dr-mom.net

서울중앙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8-754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9길 59, 2층 (미아동)

지인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7-628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9길 25, 107동 B102호 (미아동, 삼성래미안트리베라1차)

현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5-758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623, 2층 (우이동)

서울봄연합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7-0304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579, 화성빌딩 2~4층 (우이동)

스마일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0-337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433, 2,3층 (수유동)

최윤영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2-757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309, 미성빌딩 2,3층 (수유동)

미래소아청소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7-701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247, 3층 (미아동, 롯데마트 삼양점)
  • 홈페이지: http://ansoa.mdrline.net/Module/DoctorInfo/DoctorInfo.asp

햇살아이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7-203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241, 4층 (미아동)

서울삼양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8-365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191, (미아동)

라엘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2135-909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161, 행전빌딩 3층 (미아동)

햇빛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2-983-777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74, (미아동)
  • 홈페이지: http://www.hatvit.co.kr

건강드림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45-3377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40, 5층 (미아동, 대경빌딩 )
  • 홈페이지: http://doctormoon.co.kr

메트로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8-002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4, 4,6,7층 (미아동, 트레지오빌딩)

수유탑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0-7588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33, 정우빌딩 4층 (수유동)

우리베스트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6956-088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08, 3층 (번동, (주)북한산스카이)

의료법인성화의료재단 대한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2-903-323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01, (수유동, 대한병원)
  • 홈페이지: http://www.daehanh.com

우리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9-280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55, 3층 (수유동)
  • 홈페이지: http://

김영재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46-020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53, (수유동, 서울메디칼빌딩)

강북보아스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0-153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42, 한국전력 강북성북지사 2층 1호 (미아동)

김보연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02-995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99, (미아동, 김보연산부인과)

박병규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45-4191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90, (미아동, 비전빌딩)

이윤식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45-2323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90, (미아동, 비전빌딩)
  • 홈페이지: www.ient.co.kr/

서울조이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80-1012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74, 2층 (미아동)

민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2-982-3114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55, 서울민병원 (미아동)
  • 홈페이지: http://minhospital.co.kr

참조은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2-993-1515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해로 87, (수유동)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예방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의료기관에 따라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방문 전에 지정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종류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유두종 바이러스(이하 HPV)감염증이란?

  • HPV 감염증 예방접종으로 HPV감염이 주 원인인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90%, 항문생식기암·구인두암 70%가 HPV감염으로 발생 HPV백신의 최대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HPV감염의 가장 큰 원인인 성경험 이전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인 12세 사춘기 여성 청소년에게는 전문의 건강상담과 HPV 예방접종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여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 12~17세 여성 청소년
  • 18~26세 여성(소득기준에 따라 지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50%이하)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사업내용

구분HPV 예방접종 사업
지원대상12 ~ 17세 여성청소년(2006. 1. 1. ~ 2012.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18 ~ 26세 저소득층* 여성(1997. 1. 1. ~ 2005.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
*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
지원내용HPV 예방접종 및 건강상담(건강상담은 ‘11~’12년 출생자만 가능)
지원횟수만 15세 미만에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6~12개월 간격 2회 접종만 15세 이후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 총 3회 접종HPV 4가(0, 2, 6개월 간격)HPV 2가(0, 1, 6개월 간격)
지원백신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주의사항

주의사항

알아두면 좋은 상식

왜 12살 여자 청소년 에게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는 건가요?

– 성 접촉이 발생하기 전 2회 접종이 자궁 경부암 예방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성인 연령에서 보다 어린 청소년에서 예방 접종을 하였을 경우 얻는 면역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일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자국에서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등의 이상 사례에 대해 접종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2014.2월, 7월)

– 일본 이외에 자궁 경부암 백신을 도입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국가에서는 현재까지 특별한 안전성 문제 없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고 있나요?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자궁 경부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하여 국가 예방 접종 사업 도입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OECD 34개국 중 29개국이 자궁 경부암 백신을 국가 예방 접종사업에 도입했습니다.

유독 자궁 경부암 백신만 이상 반응 우려가 많은거죠?

– 부작용 관련 언론보도들이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은 다른 어린이 접종 백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예방 접종 전후 주의사항을 잘 지키고 접종을 받으면 안전에 문제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 반응은 타 백신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 통증, 부종, 발적, 두드러기 같은 국소 증상과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전신 이상 반응이 있으며 이런 증상은 2~3일 내 특별한 치료없이 회복됩니다. 일부 청소년은 접종 부위 통증이나 심한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질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예방 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고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이를 예방 하기 위해서 예방 접종 후 20~30분간 의료 기관에서 앉아있거나 누워있어야 합니다.

이상 반응에 대해 국가에서 마련하고 있는 대응책이 있나요?

– 질병관리본부는 이상 반응 신고체계를 통해 예방 접종 이상 반응 발생을 감시하고 중증 이상 반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 접종 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 예방 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피 접종자 또는 보호자 중 백신 이상 반응이 의심 되면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보건소 또는 예방 접종 도우미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신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