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연금 연금소득자 소득,세액 공제신고서

연금소득자 소득,세액 공제신고서 (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37호의2)
연금소득 과세대상자(02.1.1 이후 퇴직한 퇴역연금 수령자)가 연금소득공제를 받기 위하여 인적공제 대상자 변동사항을 신고하는 서식입니다.

서식 보기

서식 작성방법

  1. 기본공제는 배우자 및 부양가족 중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그 대상자의 인적사항을 ④란에 적습니다.
    가. 배우자: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 적습니다.
    나. 부양가족
    1) 연금소득자와 생계를 같이 하는 다음의 부양가족으로서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 적습니다. 다만, 장애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나이의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가) 직계존속: 60세 이상인 경우
    나) 직계비속ㆍ입양자: 20세 이하인 경우,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와 그 배우자가 모두 장애인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배우자를 포함
    다) 형제자매: 20세 이하 또는 60세 이상인 경우
    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수급자
    마) 「아동복지법」에 따라 가정위탁을 받아 양육하는 아동
    2) 부양가족공제는 중복하여 받을 수 없으므로, 다른 형제자매ㆍ배우자 또는 자녀 등이 부양가족으로 신고한 부모ㆍ자녀 등은 적지 않습니다.
  2. 추가공제 등은 기본공제대상자 중 경로자, 장애인, 8세 이상 자녀 또는 출산ㆍ입양자가 있거나 연금소득자 본인이 부녀자 세대주, 한부모 세대주인 경우에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하는 것으로서 ⑤란에 대상 여부에 “○”표시를 합니다.
    가. 경로우대공제: 70세 이상인 경우에는 1명당 100만원을 소득공제합니다.
    나. 장애인공제: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상이자, 그 밖에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인 경우에는 1명당 200만원을 소득공제합니다.
    다. 부녀자공제: 연금소득자가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 또는 배우자가 있는 여성(종합소득금액이 3천만원 이하인 경우에 한정)만 50만원을 소득공제합니다.
    라. 한부모 가족 소득공제: 배우자가 없는 근로자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이 있는 경우 연 100만원을 소득공제합니다(부녀자공제와 중복 시 하나만을 선택하여 적용).
    마. 출산ㆍ입양자(자녀세액공제): 출산ㆍ입양자가 있는 경우에는 출산ㆍ입양자 1인당 30만원씩 세액공제합니다.
  3. 공제대상 항목 중 작성할 난이 부족한 경우에는 별지에 이어서 작성합니다.

서식 다운받기

군인연금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