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합포구 HPV 예방접종

유두종 바이러스 예방접종

서울가정의학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2-7583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4길 5, 3층 2, 3호 (현동)

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2-7282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허당로 50, (산호동)

박영호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3-8575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대로 7, (월남동5가, 경남은행)

신세계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7-6007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대로 15, (해운동, 파라다이스빌딩)

허성희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21-9777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로 243, (산호동)

하나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55-240-30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로 110, (오동동)

진동삼성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71-5931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삼진의거대로 618, 202호

조문흠가정의학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8-7474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앙남6길 103, (장군동3가, 조문흠가정의학과의원)

세화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22-34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서14길 95, (자산동, 상진힐프라자)

참제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22-0436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용마로 51, (산호동, 참빛제일의원)

이앤조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4-7582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성로 48, (신포동2가, 대우메디칼빌딩)

강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21-1002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북6길 26, (산호동)

참여성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55-249-06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불종거리로 19, (동성동, 참여성병원)

신마산서울아동병원

  • 구분: 병원
  • 전화번호: 055-223-7847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문화동15길 25, (창포동3가, 롯데빌리지)

세인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2-7554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시장2길 23, (교방동, 경남은행)

고운메디컬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3-7577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순환로 33, 상가1동 201-1호 (월영동, 마린애시앙부영)

의료법인합포의료재단에스엠지연세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55-243-01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76, (월남동2가, 합포의료재단)
  • 홈페이지: www.mysh.co.kr/

미래산부인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21-3777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32, (월남동4가, 미래산부인과)
  • 홈페이지: http://www.miraehp.co.kr

의료법인석영의료재단창원제일종합병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55-223-90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8, (중앙동3가)
  • 홈페이지: http://www.mjeilh.co.kr/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구분: 종합병원
  • 전화번호: 055-249-10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1, (중앙동3가)
  • 홈페이지: http://www.mmc.or.kr

심앤장내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3-5600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192, (중앙동2가, 중앙동메디칼)

중앙이비인후과의원

  • 구분: 의원
  • 전화번호: 055-241-0008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192, (중앙동2가, 중앙동메디칼)
  • 상기자료는 2024년 8월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수운영기관현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스트 다운받기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예방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의료기관에 따라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방문 전에 지정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종류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유두종 바이러스(이하 HPV)감염증이란?

  • HPV 감염증 예방접종으로 HPV감염이 주 원인인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90%, 항문생식기암·구인두암 70%가 HPV감염으로 발생 HPV백신의 최대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HPV감염의 가장 큰 원인인 성경험 이전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인 12세 사춘기 여성 청소년에게는 전문의 건강상담과 HPV 예방접종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여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대상

  • 12~17세 여성 청소년
  • 18~26세 여성(소득기준에 따라 지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50%이하)

지원백신

  • 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사업내용

구분HPV 예방접종 사업
지원대상12 ~ 17세 여성청소년(2006. 1. 1. ~ 2012.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18 ~ 26세 저소득층* 여성(1997. 1. 1. ~ 2005. 12. 31. 출생자, 2024년 기준)
*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
지원내용HPV 예방접종 및 건강상담(건강상담은 ‘11~’12년 출생자만 가능)
지원횟수만 15세 미만에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6~12개월 간격 2회 접종만 15세 이후 1차 접종을 시작한 경우 총 3회 접종HPV 4가(0, 2, 6개월 간격)HPV 2가(0, 1, 6개월 간격)
지원백신가다실(HPV4), 서바릭스(HPV2)

주의사항

주의사항

알아두면 좋은 상식

왜 12살 여자 청소년 에게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는 건가요?

– 성 접촉이 발생하기 전 2회 접종이 자궁 경부암 예방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성인 연령에서 보다 어린 청소년에서 예방 접종을 하였을 경우 얻는 면역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일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자국에서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등의 이상 사례에 대해 접종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2014.2월, 7월)

– 일본 이외에 자궁 경부암 백신을 도입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국가에서는 현재까지 특별한 안전성 문제 없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을 권장하고 있나요?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자궁 경부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하여 국가 예방 접종 사업 도입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OECD 34개국 중 29개국이 자궁 경부암 백신을 국가 예방 접종사업에 도입했습니다.

유독 자궁 경부암 백신만 이상 반응 우려가 많은거죠?

– 부작용 관련 언론보도들이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은 다른 어린이 접종 백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예방 접종 전후 주의사항을 잘 지키고 접종을 받으면 안전에 문제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자궁 경부암 예방 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 반응은 타 백신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자궁 경부암 백신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 통증, 부종, 발적, 두드러기 같은 국소 증상과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전신 이상 반응이 있으며 이런 증상은 2~3일 내 특별한 치료없이 회복됩니다. 일부 청소년은 접종 부위 통증이나 심한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질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예방 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고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이를 예방 하기 위해서 예방 접종 후 20~30분간 의료 기관에서 앉아있거나 누워있어야 합니다.

이상 반응에 대해 국가에서 마련하고 있는 대응책이 있나요?

– 질병관리본부는 이상 반응 신고체계를 통해 예방 접종 이상 반응 발생을 감시하고 중증 이상 반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 접종 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 예방 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피 접종자 또는 보호자 중 백신 이상 반응이 의심 되면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보건소 또는 예방 접종 도우미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신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