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안전문화는 관계기관 협력 기반 학교안전문화 확산,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편입니다.
미래의 성장 동력인 학생들의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관계기관 협력을 기반으로 하여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통해 학교안전문화 확산
주요활동 보기
학교안전정보센터와 전문강사풀 운영으로 안전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안전체험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생안전체험관 운영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체험중심 안전교육 실시로 안전역량 및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학교안전문화 확산 및 안전한 학교 구현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 실시(전국 553개교 확대실시)
도서벽지 학교를 위한 안전체험교육(화기분사 체험, 심폐소생술 체험, 보행안전 등 교통안전체험 등)
실시로 교육의 균등화 실현 및 체험형 교육 만족도 제고
전문강사 인력풀 운영으로 학교 안전교육 강화(전국 115개교 실시)
학교 현장 양질의 안전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분야별 전문인력을 발굴하여 전문강사 인력풀(714명)
구성ㆍ운영
시ㆍ도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생안전체험관 103개관 대상 설립ㆍ운영 전문 컨설팅 지원을
통한 운영ㆍ발전 내실화 지원
어린이 교통사고 안전 및 예방을 위한 등하굣길 안전점검 및 컨설팅을 실시하고, 어린이 교통안전 홍보 콘텐츠 제작
중앙부처, 지자체, 교통 전문가로 구성된 ‘등하굣길 안전점검단’을 구성하고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116개교 대상 등하굣길 합동 안전점검 추진
유튜브 채널(교육부 tv), 유튜브 광고, 대중교통(ktx 객실, 버스터미널 광고판), 인터넷 라디오 7개 채널에
(’22.3.1.~3.31.) 송출
- 안전체험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농산어촌 및 도시 외곽지역에 이동체험차량과 안전전문가가 안전체험 교육을 운영함으로써 안전교육의 균등화를 실현하였습니다. 체험중심 안전교육을 통해 위험사항 발생시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 영역별 맞춤형 전문강사(714명) 모집·운영을 통해 학교현장에 전문적인 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지원하였습니다.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 영역별 맞춤형 전문강사의 체계적인 안전교육 지원과 학급별 단계에 알맞은 안전교육을 진행함으로 학생들의 안전지식과 의식을 향상시켰습니다.
- 학교 현장의 안전교육 지원을 위한 학교안전정보센터(https://schoolsafe.kr/) 운영ㆍ관리를 통해 교육자료의 활용성을 강화하고, 학교안전업무의 편의성을 제고하였습니다.
- 전국 시ㆍ도 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생안전체험관* 운영 내실화를 위해 설립ㆍ운영 전문 컨설팅 지원, 전시시설물 현장 안전점검 실시, 전문강사 체험교육 강연시연회 및 교육연수, 체험교육 공동 콘텐츠 개발ㆍ보급 등을 통해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학생안전체험관 발전방향 모색 및 업무공유를 통해 통합적ㆍ협력적 운영지원 체계를 강화하였습니다.
교통환경 개선, 교통안전지도, 학교컨설팅, 통학버스시스템, 학교안전매핑을 통해 안전활동을 강화하고 통합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였습니다.
- ‘23년 교육부, 행안부, 시‧도교육청(지원청), 지자체(시‧군‧구 또는 읍‧면‧동, 지역경찰서)와 교통전문가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학교 담당자로 구성된 지역기반 ‘등하굣길 안전점검단’을 구성하고, 초‧중‧고등학교 116개교 대상 등하굣길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개선방안 제시하였습니다.
- 교통안전지도사가 어린이와 함께 등ㆍ하굣길 보행하여 안전한 등·하굣길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22년 캠페인 공익광고*, ‘23년 어린이 교통안전 콘텐츠를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 유튜브 광고, 대중교통(KTX 객실,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광고판)에 송출하였습니다.
- TBS_FM 김어준의 뉴스공장, 김영철의 파워 FM,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최화정의 파워타임, 두시탈출 컬투쇼 등 공익광고 송출
-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관리기관의 통학버스 운영에 대한 현황 데이터 관리* 및 안전운행기록 제출 관리를 통해 시‧도교육청의 통학버스 관리 업무를 지원하였습니다.
- 생활 속 다양한 위험요인에 대한 감수성과 자기주도적인 위기대처능력 배양을 위해 학생과 교사로 구성된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율적 학교안전문화를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원활한 동아리 활동을 위해 컨설팅
단을 구성하여 동아리 활동 전반에 대한 점검과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진행하였습니다. - 시ㆍ도교육청 추천 유·초·중·고 학교급별 학생 동아리 ’21년 351개, ‘22년 399개, ’23년 432개 운영
- 교육부 제3차 학교안전사고예방기본계획(’22~’24)에 따라 학교안전사고 예방사업의 효율적이고 체계적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통합지원시스템* 을 구축하였습니다.
각종 컨퍼런스, 포럼, 공모전, 박람회 등의 운영을 통해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지속적인 통계집 발간을 추진하였습니다.
- 행정안전부 주최, 교육부 후원으로 안전산업박람회 학교안전 컨퍼런스를 개최(’22.10.13.)하였으며, 학교 안전사고 통계 분류체계 개선, 학교안전지원시스템 구축 및 학교안전정책연구를 주제로 한 컨퍼런스를 운영하였습니다.
-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한 학교 구현을 위하 공모전 개최를 통해 학교안전에 대한 경각심 고취 및 사회적 관심 유도 등 학교안전문화를 확산하였습니다.
- 학교안전정책 조사‧연구 활성화를 위해 매년 통계집과 ‘학교안전 중대사고 사례집’을 발간하고 교육부
제3차 기본계획에 따라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국가승인통계 지정 추진, 학교안전사고 분석ㆍ활용 활성화를 위해 경진대회를 추진하였습니다.
성과 보기
- 학교안전사고 예방사업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2023.7.13.)에 따라 사안별· 부분적 사업추진에서 일괄적ㆍ종합적 사업추진의 전기 마련
- 학교안전법 제2장과 도로교통법 등 학교안전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산발적으로 개발‧운영되던 시스템 통합 구축 추진(2023 특교 22억)
- 예방사업 추진예산도 2007년 설립 당시 3억원에서 2023년 현재 73억원으로 70억원 증가
원문 다운받기
2023년 안전문화 유공 공모전 우수사례집은 행정안전부 – 정책자료 – 참고자료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관련 자료도 많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내용 보기
2023 안전문화 유공 공모전 결과 우수사례에 선정된 내용을 모아 우수사례집을 만들었습니다.
우리 사회 각 분야 안전문화 활동을 장려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우수사례를 발굴ㆍ확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참고 바랍니다.
○(지자체 부문)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강원특별자치도, 경남 하동군, 전북 고창군, 경북 포항시
○(민간기관 부문) HD현대인프라코어, 삼성SDI,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동서발전, (사)대한산업안전협회, 대한송유관공사,
부산교통공사,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현대모비스(주), 새마을교통봉사대 남양주시지대,
(사)재난구호사협회, 용산구시설관리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