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업무를 하다 시설관련 업무를 하게되면 용어부터 어렵습니다. 특히 공사계약을 하거나 시설 담당자나 관계업체와 이야기를 하려면 시설공사 관련된 용어는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공사업무나 계약 입찰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용어해설
경영상태분야
부채비율(debt ratio)
부채자본비율, 즉 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
부채, 즉 타인자본의 의존도를 표시하며, 경영분석에서 기업의 건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타인자본(borrowed capital)
기업 자본을 조달 원천별로 분류하는 경우, 금융기관이나 거래선 등 기업 외부에서 차입한 자본을 말하며, 자기자본에 상대되는 말로서, 외부자본․차입자본․채권자자본․신용자본이라고도 한다.
자기자본(owner’s capital)
기업의 자본 중에서 출자의 원천에 따라 출자자(주식회사의 경우는 주주)에 귀속되는 자본 부분으로서 채권자에 귀속되는 타인자본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총 투자자본인 총자본에서 부채를 차감한 것이다.
유동비율(current ratio)
유동자산의 유동부채에 대한 비율로 (유동자산÷유동부채)×100(%)의 계산식으로 산출된다. 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 또는 그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쓰이는 것으로 신용분석적 관점에서는 가장 중요하다.
이 비율이 클수록 그만큼 기업의 재무유동성은 크다.
유동부채(current liabilities)
유동부채란 대차대조표 작성일로부터 1년 이내에 지급되리라 기대되는 부채로 지급기한의 장단에 따른 부채분류에 의한 것이다. 다른 말로는 단기부채(short-term liabilities)라고 하는데 유동성배열법에 따라 부채 중 맨 먼저 배열한다(동의어 : 단기부채)
유동자산(liquid assets)
유동자산은 운용자산이라고도 하며, 고정자산에 대립되는 개념이다. 현금 및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받을 어음․외상매출금․미수금 ․유가증권 등의 당좌자산(當座資産)과 상품․제품․반제품․원재료․재공품(在工品)․저장품 등의 재고자산이 포함된다.
고정부채(fixed liabilities)
대차대조표 작성일로부터 기산하여 1년 이내에 상환기일(지불기일)이 도래하지 않는 부채를 말한다.
장기부채(長期負債)라고도 한다. 단기부채, 즉 유동부채에 대응되는 말이다. 종류로는 사채(社債)․장기차입금․관계회사 차입금 등이 있다.
고정자산(fixed asset)
판매 또는 처분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취득한 각종 자산으로 우리나라 `재무제표규칙’에는 유형고정자산․무형고정자산 및 투자자산의 셋으로 분류하고 있다. 토지․건물 ․기계․설비․차량․건설가계정 등의 유형고정자산이 있고 이는 기업의 설비규모를 나타낸다.
당기순이익
기업이 일정기간에 얻은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이익으로 남은 몫을 말한다. 즉 기업이 한 사업연도 동안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내고 얻은 매출총이익에서 다시 일반관리비(본사의 경비)와 판매비를 뺀 것.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을 매출액 영업이익률 또는 영업이익률이라고 한다. 영업이익률은 영업활동의 수익성을 표시한다.
총자본회전율
총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 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이 비율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활동성비율의 하나로서 기업의 총 자산이 1년에 몇 번이나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낸다.
총자산 회전율이 높으면 유동자산․고정자산 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으면 과잉투자와 같은 비효율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총자본(total liabilities and net worth)
기업의 전 투입자본액으로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으로 성립되며 결산기간에 얻은 이익을 여기에 가한다.
자본(capital)
자산 총액에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재산으로서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분류된다.
또한 자본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 대한 기업의 소유주 또는 주주의 청구권(equities) 즉 소유자 지분을 의미한다.
자산(A) – 부채(P) = 자본(K)
자산(assets)
현금, 상품, 건물, 비품 등과 같이 경영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 즉, 경제적 자원(enconomic resources)으로서 취득 시에 객관적으로 화폐가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실질자본금
대차대조표상 자산총계에서 부채총계를 차감한 자본금액
순유동자산
대차대조표상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금액
법정관리
법관의 판단에 의해 최장 20년까지 기업의 부도를 유보시켜 주는 조치이다. 즉, 일시적 자금난으로 도산 위기에 빠진 회사가 회생가능성이 있을 경우 채권자와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사업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도로 인한 관련업계의 연쇄부도와 국민경제의 피해를 막으려는 제도이다.
법원에서 법정관리인을 선정하고 기업경영을 책임진다.
화의(和議)
장기적으로는 회생할 수 있으나 단기 유동성 부족으로 어려움에 처한 업체를 살리는 제도로 파산 위기에 몰린 기업에 대해 부채를 동결한다는 점에서는 법정관리와 같지만 채권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 법원이 결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Workout
기업개선작업은 법원에 의한 강제적인 절차(법정관리, 화의)에 들어가기 전에 채권자인 금융기관들과 채무자인 기업간에 협상과 조정과정을 통해서 채무조건의 완화라는 사적인 화의(和議)를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개선작업은 정부나 법원조직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민간자율기구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목분야
현수교(suspension bridge)
적당히 늘어지게 친 케이블이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로서 주 케이블이 대지로 이끌어져서 앵커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는 좀 달리 연속보강형의 양끝에 주 케이블을 연결한 현수교도 있는데 이것을 자정식(自定式) 현수교라 한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는 미국 뉴욕주(州)의 베라자노내로스교(橋)로서 중앙지간이 1,298m이고, 그 다음이 골든게이트교로서 1,280m이다. 한국에는 1973년에 완공된 남해대교(南海大橋)가 있는데, 길이 660m, 폭 12m이다.
사장교(cable-stayed girder bridge)
교각이나 기초 위에 세운 주탑으로 부터 비스듬히 뻗친 Cable로 주형 또는 Truss를 지지하는 교량형식이다. 경간(徑間) 150~400m 정도 범위의 도로교에 흔히 쓰이며, 경제적이고 미관에도 뛰어난 설계가 가능하다.
라인강(江)에 있는 뒤스부르크교(主徑間 350m, 1971) 등 독일에 사장교가 많이 있으며, 한국에는 올림픽대교와 서해대교, 진도․돌산대교가 있다
트러스교
몇 개의 직선부재를 한 평면 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구조로 조립한 Truss를 이용한 교량형식이다.
아치교
교량의 주체를 Arch구조로 하여 지점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만든 교량이다. 수평반력에 의해 Arch Rib에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단면을 결정하게 되는 주 요인을 축방향 압축력이 되게 만든 구조이다.
BOX GIRDER교
얇은 강판을 상자형 단면으로 결합하여 주 구조로 사용하는 교량형식이다.
하구언
외해(外海)로부터 염수(鹽水)가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구부에 쌓은 둑.
하구부근에서 염수가 거슬러 올라오는 것을 막고 염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종래 염해 방지를 위해 또는 하구유지․하천정화를 위해 필요한 방류수량(放流水量)을 감소시킬 수 있고, 헛되게 방류되던 물을 하천의 최 말단에서 막아 그 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가호안
호안구조와 동일하나 매립을 목적으로 토사 유실을 방지코자 후면에 휠타, 매트 등이 사용됨. 특히 준설투기장 등으로 이용되며, 또한 부지를 조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되는 구조물
그라우팅(Grouting)
펌프를 사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가압 주입하는 것. 터널 암반의 균열이나 물이 고이는 곳, 터널 복공과 본 바닥과의 공급의 추진, 프리팩트 콘크리트, 포스트 텐션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강선과 사이즈사이의 충진 등에 쓰인다.
표층
포장의 최상부, 차량의 마찰에 저항하고 하층으로 우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력을 증가하고 평탄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반 또는 기층상에 만들어진다. 마모층과 결합층 혹은 중간층으로 나누어진다.
기층
휨성포장의 노반과 표층사이에 위치하는 층․표층을 지지하고 표층과 함께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노반에 전달하는 목적을 갖는다. 블랙베이스, 화이트베이스 또는 시멘트 안전처리 등에 쓰인다.
갓길(노견)
도로의 포장부분을 보호하고 또한 차도의 효용을 보전하기 위하여 차도 또는 보도에 접속하여 도로양단 가까이에 설치되는 대상부분, 경로견과 연로견이 있다.
노반
포장이 표층 또는 기층과 노상 사이의 부분으로 비소성의 조립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보통 상층노반과 하층노반으로 구분한다.
노상
포장밑 즉 노반밑의 부분, 성토구간에서는 성토의 최상층 적어도 1m두께의 부분, 절토구간에서는 자연상태의 지반면으로부터 적어도 깊이 1m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물양장(Lighter’s Wharf)
경사 또는 계단식으로 된 소규모 계선안(繫船岸, Mooring Wharf). 주로 1,000ton이하의 선박이 접안 할 수 있는 시설(계선안 : 계선시설 중 안벽, 잔교, 돌핀, 부잔교, 물양장 등 직접 선박이 접안하는 구조물의 총칭)
적출장
항만공사시 필요한 자재나 장비를 편리하게 적재, 운반할 수 있도록 시설한 구조물
사석
방파제나 안벽 등의 기초에 사용하기 위하여 큰돌을 깨어서 일정한 규격이 있는 비교적 강한 돌로서, 사석만으로 된 방파제를 축조하는 경우도 있다.
안벽(Quay-Wall)
수심 4.5m이상의 계선안(繫船岸). 1,000톤급 이상 선박이 직접 접안 할 수 있는 시설
적재중량톤
안벽 등 구조물 설계시 D.W.T를 사용하며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말함.
케이슨(Caisson)
방파제나 안벽공사에서 철근콘크리트 함괴(뚜껑이 없음)를 제작, 부상하여 현장까지 예선 등으로 예인하여 설치하는 철근콘크리트 상자라고 할 수 있음.
건축분야
구조물
교량, 터널, 댐 등과 같이 천연 또는 인조재료를 써서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고 그 사용 목적에 유익하도록 건조된 공작물의 총칭을 말한다.
라아멘(Rahmen)
건축구조의 구성형식의 일종으로 구조부재의 결합부가 강철로 되어 있는 일체식 구조를 의미한다.
조적조
건축구조 구성방법의 일종으로 벽돌, 돌, 블록 등을 하나 하나씩 쌓아서 만든 구조를 의미한다.
철골조(steel frame construction)
주요 뼈대가 철재로 구성된 구조로 이들 철재는 리벳트, 볼트 및 용접 등으로 조립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철근콘크리트조(reinforced concrete structurer)
건물의 뼈대가 되는 주요 구조부를 철근과 콘크리트를 써서 구성된 구조로 힘을 받는 주요 구조부분이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전체를 일체로 만든 구조를 말함
철골․철근콘크리트조(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철골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철근으로 둘러싸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단일체(單一體)로 만든 구조
커어튼 월(curtain wall)
비내력벽의 총칭으로 근대건축에서 구조체로서 뼈대바깥쪽에 공간구획을 위해 설치하는 얇은 벽으로 사용 재료는 알루미늄이나 철을 이용한 금속제 커어튼 월과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등을 주로 사용한다.
트러스(Truss)
2개이상의 부재에 생기는 응력이 모멘트와 전단력을 없게 하고 축방향력만을 생기게 하여 큰 간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을 의미한다.
신축
건축물이 없는 대지(기존건축물이 철거 또는 멸실된 대지를 포함한다)에 새로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부속건축물만 있는 대지에 새로이 주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을 포함하되, 개축 또는 재축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1호)
재축
건축물이 천재지변 기타 재해에 의하여 멸실된 경우에 그 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다시 축조하는 것(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4호)
개축
기존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기둥․보․지붕틀중 3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를 철거하고 그 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3호)
증축
기존건축물이 있는 대지 안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연면적․층수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2호)
클린룸(clean room)
먼지나 세균이 없는 방.
불과 몇 ㎟밖에 안 되는 크기에 10만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나 저항기를 조립할 수 있는 초(超)고밀도집적회로(VLSI)나 유전자조작과 같이 세포 속의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는 극미산업(極微産業)에서는 미세한 먼지나 세균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방 전체의 공기를 여과하거나 펌프로 흡인해서 청결하게 한다.
기계설비분야
스토커 방식
소각대상물을 이동화격자 위에 투입하고 교반 및 이송시키면서 소각하는 방식으로서 이때 연소용 공기는 스토커 하부에 송입됨
유동상 방식
모래 등의 입자층으로 충전시킨 연소로의 하부에서 공기를 송입하면 모래 등의 입자층이 유동하게 되는데, 이 유동상에 폐기물을 정량 공급하면서 연소시키는 방식임
로타리킬른 방식
수평보다 약간 경사진 원통형의 로(爐)를 완만하게 회전시키고, 상부에서 공급한 폐기물을 하부로 이송시키면서 전부 또는 후부 등에서 공기를 송입하여 건조, 연소 및 후연소 시키는 방식임
열분해용융 방식
드럼내에 전열관을 배치하여 그 안을 고온의 가열공기가 흐르며 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소각재의 활용, 다이옥신류 등 유해물질의 무해화를 위해 사용하는 최신 소각방식 임
가스화용융 방식
건조, 열분해 가스화에서 용융까지를 하나의 로에서 한번에 승온하여 연소하는 방식으로 약간의 코크스와 석회석을 폐기물에 첨가하여 처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최신 소각방식 임
프라즈마열분해 가스화용융 방식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 연속적이고 안정된 아크(ARC)를 발생시켜, 가연성폐기물에 고밀도 에너지를 급속하고 강렬하게 주입하여 연소하는 방식으로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최신 소각방식 임
냉동톤(R/T)
1일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냉동능력을 말하며 약 3,024Kcal에 상당함
팬코일유닛(F.C.U)
코일송풍기, 공기여과기 등을 하나의 케이싱에 넣은 소형의 유닛으로 만든 공기조화장치를 실내에 설치하여 냉․난방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장치를 말함
방재설비
건축설비 중에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서 화재의 미연방지와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이나 방화벽 등의 방화설비, 소화전(消火栓)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소화설비, 피난이나 소화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배연설비, 비상용 조명장치, 비상용 출구, 고층건물의 비상용 계단 및 승강기가 있으며, 이 밖에 피뢰 설비 등이 있다.
소화설비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의 방법으로 방호 대상물에 설치하여 화재 확산을 막거나 억제시키는 기구 및 설비
전기분야
플로아 덕트(Floor Duct)
배관자재의 일종으로 공사방법에 따라 전화, 컴퓨터, 전원용 단자를 간단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무실, 백화점, 상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
배전반(Switchboard, Switchgear)
송전계통과 전력기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여 소내의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계기, 제어 스위치, 모의 모선, 표시등 등을 한 곳에 집중시킨 것. 용도에 따라 주 배전반(감시반, 제어반), 보조 배전반, 소내 배전반 등으로 나눔
급전선(Feeder)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전차선(Trolley Wire)
레일면상 일정한 높이로 가선되고 전기기관차나 전차의 팬터그래프의 습판과 직접 접촉하여 차내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말한다.
조가선(Messenger Wire)
전기차의 팬터그래프(pantagraph)와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을 드롭바 및 행거로서 조가 하기 위하여 쓰여지는 전선을 말한다.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rupt Power System)
컴퓨터 전원설비와 같이 외부 부하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전원은 상전을 사용하지 않고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설비의 일종을 말함
열차집중제어장치(C.T.C)
열차의 운행 조작을 1개의 사령실에서 20-30개 역의 신호기, 전철기 등을 집중제어 함으로써 열차의 운행을 지시하고 운전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최신 신호보안설비를 말함
자동열차정지장치(A.T.S)
열차가 정지 또는 주의 신호를 무시하고 운행할 때 자동적으로 제동하여 열차의 추․중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를 말함
자동폐색신호장치(A.B.S)
역과 역사이에 수 개의 폐색구간을 설정하여 열차를 운행함으로써 종래 역간 1개 열차만을 운행하던 방식에 비해 수송력을 증대하는 신호보안설비 장치를 말함
활선작업
전기가 통전되고 있는 전기시설물에 필수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을 말함
안정화 전원
부하가 변화해도 전압의 변동이 없도록 되어 있는 전원
승압기
배선선로에서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전선로에 직렬로 가해지도록 접속하여 사용하는 변압기
연동장치공사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의 제어 또는 조작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상호 쇄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관하여 신호기장치, 전기선로전환장치, 궤도회로장치 등을 종합 설치하는 공사로서 이에 따른 연동장치 결선변경 등 종합시험이 포함된 공사
장내신호기
정거장에 진입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내방(신호기의 뒤쪽방향)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출발신호기
정거장에서 진출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내방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폐색신호기
폐색구간에 진입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내방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입환신호기
구내 운전의 시작지점에서 구역 내 진입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엄호신호기
정거장외 방호 필요 개소의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유도신호기
장내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해서는 안 되는 경우 정거장으로 들어오는 열차에 대해 설비한 신호기(지장 있는 선로에 열차 진입시킬 경우 사용하는 신호기)
입환표지
입환신호기와 동일하나 하단에 백색 유도등이 없는 신호기
전기선로전환기
신호기(표지)와 연동되어, 열차 또는 차량의 궤도회로 점유 조건에 따라, 레버나 취급버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선로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임
스코트변압기
교류전기철도에서 전력회사 등의 계통에서 3상전력의 공급을 받아 스콧변압기로 2상으로 바꾸어서 상하선별 또는 방면별로 변전소에서 전차선로로 급전할 시 설치하는 변압기
단권변압기
교류전차선로에서 전압강하 및 유도장해 등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전차선로에 설치하는 변압기
차단기
전로(電路)에 고장이 없을 때 정상전류의 개폐는 물론, 단락(短絡) 등의 고장으로 인해 비정상으로 큰 전류가 흐를 경우에도 개폐할 수 있는 장치
단로기
보통의 부하전류는 개폐하지 않는다. 송전선이나 변전소 등에서 차단기를 연 무부하상태(無負荷狀態)에서 주 회로의 접속을 변경하기 위해 회로를 개폐(開閉)하는 장치
전철제어반
제어반의 구조는 옥내개방형․ 자립형 또는 벽 지지형 등이 있으며 전차선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선로절체 및 전원계측 등이 가능한 함체
전차선로
전기철도는 지상에 부설되어 있는 궤도 외에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가공전선(架空電線)이 필요하며, 가공전선과 이를 받치고 있는 구조물을 총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