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연금] 부담금을 조정하고 싶어요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급여 수준이 낮아서 사학연금 부담금을 납부하기 어렵습니다. 금액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핵심요약 사학연금 부담금은 법정부담금으로서 강제사항임 금액을 조정할 방법은 없으며 연체되면 이자가 가산되므로 적기에 납부하여야 함 알아보기 개인부담금이 소득의 9%에 해당하므로 급여 수준이 낮은 경우 부담금을 납부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학연금의 부담금은 법정부담금으로서 강제적으로 납부하여야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사유로 … 더 읽기

[사학연금] 왜 이렇게 많이 떼나요?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월급에서 사학연금 부담금은 왜 이렇게 많이 떼어가나요? 핵심요약 사학연금의 개인부담률이 9%로서 국민연금 대비 2배에 이름 부담금은 기준소득월액에 비례하여 징수되므로 소득이 높을수록 부담금액이 많아짐 알아보기 개인부담금의 경우 부담률이 기준소득월액의 9%에 해당하여 납부하는 부담금액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것은 국민연금과의 비교에서 쉽게 알 수 있는데 국민연금의 개인부담률은 소득의 45%로서 사학연금 대비 절반 수준입니다. 사학연금의 개인부담률이 국민연금에 비하여 높지만 … 더 읽기

[사학연금] 휴직 면제 혹은 연장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현재 휴직 중에 있습니다. 소득이 거의 없는데 부담금 납부를 면제하거나 연장하는 방법이 있나요? 핵심요약 휴직자에게는 부담금 납부에 있어 3가지 선택이 가능 알아보기 교직원이 휴직한 경우에는 교직원의 선택에 따라 다음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휴직기간에 대한 부담금을 휴직한 월수만큼 납부할 수 있습니다.1. 휴직기간 동안 매월 그 달에 해당하는 개인부담금을 계속 납부

[사학연금] 부담금 미납 연체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부담금 미납으로 연체가 되면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나요? 핵심요약 부담금이 미납되면 연체금이 발생 연체금 산정에 적용하는 금리는 정기예금 금리 중 가장 높은 금리의 2배를 적용 알아보기 개인부담금 · 법인부담금 · 재해보상부담금을 정해진 날까지 내지 않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체금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연체금에 적용되는 금리는 해당 연도 1월1일 현재 전국은행이 적용하는 정기예금 금리 중 가장 높은 … 더 읽기

[사학연금] 부담금 내지 않고 퇴직?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휴직기간에 대한 부담금을 완납하지 않고 퇴직을 할 경우 어떻게 되나요? 핵심요약 휴직기간의 부담금을 완납하지 않고 퇴직을 한 경우에는 미납 개인부담금을 일시에 납부(퇴직급여 청구시 급여에서 공제) 미납 법인부담금에 대하여 학교기관에서 일괄 납부 알아보기 교직원이 휴직기간의 부담금을 완납하지 않고 퇴직을 한 경우에는 미납 개인부담금을 일시에 납부하여야 하며 퇴직과 동시에 퇴직급여를 청구하면 급여에서 해당 금액이 공제됩니다. 또한 미납 … 더 읽기

[사학연금] 부담금 미납 불이익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사학연금 부담금을 안내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핵심요약 부담금 미납시 연체금을 납부하여야 함 알아보기 개인부담금, 법인부담금 또는 재해보상부담금을 정해진 날까지 내지 않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 연체금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연체금은 체납부담금을 납부한 다음 달에 고지되며 납부방법은 부담금 납부와 동일합니다. 원칙적으로 개인부담금은 해당 학교기관의 장이 매월 보수에서 징수하여 보수지급일부터 3일 이내에 공단에 지급하므로 연체금 납부의 문제가 발생하지 … 더 읽기

[사학연금] 임금체불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최근 몇 개월간 보수를 지급받지 못해서 부담금을 납부하지 못하였는데 문제가 발생 하지는 않나요? 핵심요약 학교기관의 장에게 부담금의 징수와 납부의무를 부여 정해진 날까지 부담금 납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연체금이 부과되며, 체납기간이 6월 이상인 경우에는 강제 징수가 될 수 있음 알아보기 개인부담금은 해당 학교기관의 장이 매월 보수에서 징수하여 보수지급일부터 3일 이내에 공단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즉 학교기관의 장에게 부담금의 … 더 읽기

[사학연금] 소급 납부(소득공제)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부담금을 소급해서 납부하였을 경우, 어느 해에 소득공제가 적용되나요? 핵심요약 부담금 소급납부시 복무 및 휴직 연도를 기준으로 해당 소급부담금을 실제 납부한 연도의 종합소득 금액에서 공제 합산반납금은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 알아보기 소급부담금의 대상기간이 2001년인 경우 해당 소급부담금의 50% 소득공제, 2002년 이후인 경우 전액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임용 전 병역복무나 휴직에 따른 부담금을 소급하여 납부하는 경우 소득공제 기준연도는 해당 … 더 읽기

[사학연금] 기간제 교사 근무 경력 인정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기간제 교사로 근무한 경력이 있습니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임용되는 데 과거 근무 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핵심요약 기간제 교사 경력은 사학연금 적용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재직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없음 알아보기 과거에 기간제 교사로 근무한 기간은 사학연금법에서 정하는 적용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사학연금법상 근무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사학연금법 적용 대상자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제2조제1항제1호에 정의된 사립학교법 제54조에 따라 … 더 읽기

[사학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 하한

사학연금 알아보기(100문 100답)

기준소득월액 상한 하한이 있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내용과 용도는 무엇인가요? 핵심요약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하여 적용 기준소득월액의 하한은 직종별로 금액을 달리하고 있음 알아보기 기준소득월액은 지급되는 급여의 종류에 따라 크게 두 종류의 상한을 두고 있는데 ①퇴직연금·조기퇴직연금 · 퇴직유족연금에 적용되는 ‘평균기준소득월액 산정시의 매년 기준소득월액에 대하여 공무원 전체에 대한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의 160퍼센트를 상한으로 하고 있 으며 ②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