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합산사병 신청방법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합산사병 신청방법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합산사병 신청방법 알아보기 재직기간 합산 공무원 재직 중(임용일부터 퇴직일 전날까지) 신청 가능(공무원연금법시행령 제20조제1항) 재직기간 관리 내용 합산 신청 퇴직한 공무원·군인·사립학교교직원이 다시 공무원으로 임용되었을 때 현재의 재직기간에 가산하는 제도(방법) 홈페이지 메인화면 – 연금복지포털 – 재직공무원 화면바로가기 – 연금서비스 – 재직기간 합산 – 합산 신청(재승인 신청의 경우 : 합산 재승인 신청 합산 변경 반납금을 일시납부에서 분할납부로 또는 … 더 읽기

공무원연금 가입자 관리편

공무원연금 가입자관리

공무원연금 가입자 관리편 가입자 적용대상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 그 밖의 법률에 의한 공무원공중보건의, 보건진료원(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공익법무관(공익법무관에 관한 법률)사법연수원생(법원조직법) 등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기타의 직원청원경찰청원산림보호직원위원회 등의 상임위원과 전임직원으로서 매월 정액의 보수 또는 이에 준하는 급여를 받는자기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정규공무원외의 직원으로서 수행업무의 계속성과 매월 정액의 보수지급여부 등을 참작하여 인사혁신처장이 인정하는 자 적용제외자 … 더 읽기

알기 쉬운 공무원연금

공무원 연금제도

알기 쉬운 공무원연금 공무원연금제도란? 공무원연금은 공무원 및 유족을 위한 종합사회보장제도입니다.퇴직 후 생계보장을 위한 연금급여, 근로보상적 성격의 퇴직수당, 근로 재해에 대한 보상 및 부조급여공무원 및 그 유족의 생활안정과 복리향상공적보험원리에 의하여 작동되는 장기 소득보장제도국가에 의한 공무원부양제도로서의 성격 목적 공무원연금제도는 공무원의 퇴직 또는 사망과 공무로 인한 부상·질병·장애에 대하여 적절한 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공무원 및 그 유족의 생활안정과 복리향상에 기여함을 … 더 읽기

공무원연금 기여금과 부담금편

공무원연금 기여금과 부담금

공무원연금 기여금과 부담금편 비용부담개요 비용부담공무원연금법상의 각종급여는 공무원 본인이 매월 기준소득월액의 일정비율을 불입하는 기여금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수예산의 일정비율을 부담하는 연금부담금 및 정부가 고용주로서 일부 급여의 지급에 소요된 비용을 부담하는 제 부담금(퇴직수당부담금, 재해보상부담금) 등을 재원으로 형성. 기여금 연금부담금 기준소득월액의 9.0% 보수예산의 9.0% 기여금은 공무원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모든 공무원을 대상으로 매월 보수지급 시에 연금취급기관에서 원천징수 하며, 부담금은 … 더 읽기

공무원연금 휴직자 기여금납부제도편

공무원연금 휴직자 기여금납부제도

공무원연금 휴직자 기여금납부제도편 휴직자 기여금 납부제도는? 공무원연금법 시행령 제65조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경우, ‘내려는 달의 기여금으로’ 매월 납부 가능하며 납부하지 못한 기간이 있을 때에도 소급해서 한꺼번에(또는 원하는 개월 수 만큼) 낼 수 있습니다.→ 기여금이 인상되면 해당 월 분의 기여금으로 납부해야 하므로 기여금 인상시기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기여금징수율 인상 : 2020년 1월 1일(기준소득월액의 8.75% → 9% 적용)기준소득월액 … 더 읽기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연금수급자)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재직자 대상, 연금수급자대상, 융자추천서)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연금수급자) 주요내용 구분 알선내용 취급은행 국민, 농협, 경남, 부산, 전북, 광주, 대구, 우리, 하나은행 대출한도 최고 3,000만원까지 가능하며 월 상환금액이 월 연금액의 1/2을 넘을 수 없음 대출이율 아래의 은행별 변동금리현황에서 개략적인 이율 확인가능 상환방법 대출금은 5년이내 매월원리금 균분상환신용대출 받은 후에는 대출금 완납까지 연금수령계좌 변경 불가 신청방법 연금 수령 은행에서 공무원 연금수급자 신용대출을 신청대출한도내에서 일정금액 … 더 읽기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재직자)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재직자 대상, 연금수급자대상, 융자추천서)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재직자) 주요내용 구분 금융기관 알선대출 단기재직자 금융기관 알선대출 취급은행 국민, 하나, 우리, 광주, 대구, 부산, 경남, 전북, 농협은행, 우체국 국민, 하나, 광주, 대구, 부산, 경남, 전북, 농협은행, 우체국 대출한도 퇴직급여 예상액 1/2범위내 최고 5,000만원 까지대출한도 범위 내에서 각 은행의 여신규정에 따름 재직기간 1년이상~3년미만 : 5백만원 이내재직기간 3년이상~5년미만 : 1천만원 이내대출한도 범위 내에서 각 은행의 … 더 읽기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융자추천서)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재직자 대상, 연금수급자대상, 융자추천서)

공무원 금융기관알선대출(융자추천서) 발급방법 은행방문 대출 신청시 ‘금융기관 알선대출 융자추천서 발급 확인서’ 및 발급내역 문자 수신 내역을 은행에 제출하면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화면 하단의 < 연금복지포털 바로가기 > 버튼 클릭또는 공단사이트 첫 화면 상단의 “연금복지포털” 클릭로그인 (연금복지포털 접속)하여 업무 처리 금융기관 인터넷을 통한 대출신청 시 은행 방문없이 인터넷을 통해 대출신청을 원하실 경우 연금복지포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화면 … 더 읽기

공무원 대여학자금 조건과 신청방법

공무원 대여학자금 대부조건

공무원 대여학자금(대출) 조건과 신청방법 대부조건 대여학자금의 근거 – 공무원연금법 제 75조 및 동법 시행령 제 72조 구분 내용 대상 및 범위 공무원연금법 적용대상 현직 공무원 본인 (공무원연금법 제3조)공무원 자녀의 국내 및 해외대학교 등록금 (재혼한 자녀 포함)※ 비대상 : 정규대학이 아닌 해외대학 어학연수과정, 전문학교, 비학위과정(Certificate, 전문사, 파운데이션)및 기숙사비, 교통비, 실습비 등은 제외 대부금액 국내대학 : 실제등록금 납부액 (입학금, 수업료)범위 내 금액해외대학 : 연간 … 더 읽기

공무원 대여학자금 상환과 부담금관리

공무원 대여학자금 대부조건

공무원 대여학자금(대출) 상환과 부담금관리 상환기간 및 상환방식 대학별 거치 및 상환기간 구분 대학별 거치기간 상환기간 비고 졸업 대학(4년제 이상) 졸업익월부터 2년 4년 매월 원금 균분상환 전문대학 졸업익월부터 2년 3년 중퇴 4학기 이상 대부자 학교구분 없음 중퇴익월부터 2년 3년 3학기 이하 대부자 중퇴익월부터 2년 2년 신규도래자 상환예정월 : 2월, 8월 졸업자는 각각 3월, 9월 [중퇴는 중퇴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