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2024년 7월)

2024년 7월 기준 기준소득월액이 산정되었습니다. 이번 월액은 25년 6월까지 적용되고 일시금 산정에도 적용되는 금액이오니, 확인하셔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소득월액 상한액 부담금 및 연금 산정시 적용되는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 8,832,000원(5,520,000원×1.6)      – 2024년도 공무원 전체 기준소득월액 평균액 : 5,520,000원 일시금 산정시 상한액 교원(교수)는 12,794,948원 사무직원은 12,009,504원 적용기간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적용됩니다.

2024년 연금지급정지 기준금액(엑셀)

2024년 연금지급정지 기준금액(엑셀)

2024년 연금지급정지 기준금액(엑셀) 연금생활자의 2024년 연금지급정지 기준금액 안내합니다. 공무원연금법 제50조제3항에 따른 연금일부지급정지 기준액 : 2,640,000원(2023년 평균연금월액)공무원연금법 제50조제1항에 따른 정부 전액출자·출연기관 취업 시 전액정지 기준액 : 8,704,000원 ※ 2023년 공무원전체 기준소득월액 평균액 544만원의 1.6배 2024년도 연금지급정지액 조견표 (정산정지액) [ 전년도 평균연금월액 2,640,000원 ] 월급여(①/12) 총급여(①) 근로소득공제(②) 근로소득금액(③=①-②)(사업소득금액) 일부정지 적용소득(④)(③의 만원미만버린 금액) 소득월액(⑤=④/12) 평균연금월액(⑥) 초과소득월액(⑤-⑥) 정지산정액 3,621,667 … 더 읽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개요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개요) 지급일과 방법 연금은 퇴직 또는 사망으로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그 사유가 소멸된 날이 속하는 달까지 매월 25일에 고객님이 신청하신 본인명의의 은행계좌로 입금됩니다. ※ 지급일이 토요일이거나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날에 지급합니다. 연금수령계좌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매월 20일까지 공단으로 전화·인터넷·우편을 이용하여 계좌변경 신청을 하시면 신청월부터 변경된 계좌로 지급됩니다. 연금 압류방지 전용통장 안내 변경방법 … 더 읽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승계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연금승계) 연금승계 개요와 범위 10년이상 재직한 공무원이 재직중에 사망하거나 퇴직연금수급자 또는 장해연금수급자가 사망한 때에는 그 유족에게 매월 유족연금을 지급합니다. 퇴직연금 또는 장해연금의 60% 수급 유족연금특별부가금 퇴직연금수급자가 퇴직후 3년 이내에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과는 별도로 유족연금특별부가금이 일시금으로 지급됩니다. 퇴직 당시의 퇴직연금일시금액X1/4X36개월 – 퇴직연금 · 조기퇴직연금 수급 월수)X1/36 퇴직연금 수급자(공무원)가 사망 당시에 부양하던 가족으로, … 더 읽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정지제도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연금정지제도) 연금지급정지 제도와 대상자 (「공무원연금법 제50조 및 제61조」) (연계·조기)퇴직연금 또는 장해연금수급자가 공무원·군인·사립학교에 재임용 또는 선출직 공무원 등으로 취임하거나 연금 외에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연금지급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정지하는 제도입니다.(유족연금은 연금정지제도 대상에서 제외) 전액정지 : 자격 + 소득심사 구분 적용대상 자격정지(소득금액과 무관) 공무원·군인·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적용 대상자 선출직 공무원(국회의원, 시도교육감, 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소득정지 … 더 읽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일부정지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연금일부정지) 일부정지 운영절차 정지기준 및 조정 해지 근로소득금액소득세법상 총급여액에서근로소득공제액을 공제한 금액(비과세급여 제외) +사업소득금액과세기간의 총수입금액에서필요경비를 공제한 금액(부동산 임대소득 포함)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소득자료로 우선감액 되었으나, 현재의 소득금액과 다를 경우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연금일부지급정지·해지 조정신청서』를 제출하시면 우선 감액되는 금액을 조정 받으실 수 있습니다.해지 : 연금일부지급정지 해지신청서. 퇴직증명원, 폐업사실확인서 등조정 : 연금일부지급정지 조정신청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증명원 등☞ 서식출력 : … 더 읽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소득과세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연금수급 알아보기(연금소득과세) 연금소득 과세 제도 2002년부터 당해연도의 근로소득 연말정산 시 납부한 기여금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을 받고, 퇴직 후 수령하는 연금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소득세법 제51조의3(연금보험료공제)」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른 기여금 또는 개인부담금(이하 “연금보험료”라 한다)을 납입한 경우에는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그 과세기간에 납입한 연금보험료를 공제한다. 연금소득 과세 시행 : 2002년 1월 1일(소득세법 2000.12.29.개정) 연금소득 … 더 읽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청구방법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청구방법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청구방법 알아보기 인터넷 청구방법 퇴직급여 급여종류 지급요건 퇴직연금 공무원이 10년이상 재직하고 퇴직한 후 매월 연금으로 받고자 할 때 청구하는 급여 퇴직연금 공제일시금 공무원이 10년이상 재직하고 퇴직하여 10년초과 재직기간 중 일부기간은 일시금으로,나머지 기간은 연금으로 받고자 할 때 청구하는 급여 퇴직(연금) 일시금 공무원이 퇴직하여 전액 일시금으로 받고자 할 때 청구하는 급여 퇴직수당 공무원이 1년 이상 … 더 읽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알아보기 급여의 종류와 지급액산정 급여종류 급여지급 분류 구분 급여의 종류 비 고 장기급여 퇴직급여 퇴직연금(또는 조기퇴직연금)*분할연금:퇴직연금수급권자와 이혼시 지급 10년 이상 재직 퇴직연금공제일시금 “ 퇴직연금일시금 “ 퇴직일시금 10년 미만 재직 유족급여 유족연금 10년 이상 재직 유족연금일시금 “ 유족일시금 10년 미만 재직 유족연금부가금, 유족연금특별부가금 유족연금선택자 퇴직수당 퇴직수당 1년 이상 재직 재해보상급여 장해급여 장해연금, 장해보상금 유족급여 … 더 읽기

공무원연금 공적연금연계제도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공적연금연계제도 알아보기

공무원연금 공적연금연계제도 알아보기 공적연금 연계제도는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금을 수령하기 위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이동하는 경우 종전에는 각각 일시금으로만 받던 것을 연계를 통해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국민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연계신청방법 적용 대상 구분 국민연금 → 직역연금 이동자 공무원연금 → 국민연금 이동자 적용대상 2007.7.23.이후 국민연금 가입종료자07.7.23.국민연금법 개정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종료시 반환일시금을 받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