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상실 신고서

산재(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상실 신고서

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상실 신고서_산재보험 근로자 자격상실 신고서(2022.12.30.개정) 자격상실 신고 작성 방법 ■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지 제22호의6서식] <개정 2022. 12. 30.> [√]국민연금[√]고용보험 사업장가입자 자격상실 신고서 근로자 피보험자격상실 신고서 [√]건강보험[√]산재보험 직장가입자 자격상실 신고서 근로자 자격상실 신고서 ※ 뒤쪽의 유의사항 및 작성방법을 읽고 작성하기 바라며, 색상이 어두운 난은 신고인이 적지 않습니다.※ 같은 사람의 4대 사회보험의 상실 연월일이 다른 … 더 읽기

산재(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취득 신고서

산재(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취득 신고서

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취득 신고서_산재보험 근로자 자격취득 신고서(2022.12.30.개정) 자격취득 신고 작성 방법 ■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지 제22호의5서식] <개정 2022. 12. 30.>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자격취득 신고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취득 신고서 [√]고용보험 근로자 피보험자격취득 신고서 [√]산재보험 근로자 자격취득 신고서 ※ 2쪽의 유의사항 및 작성방법을 읽고 작성하기 바라며, 색상이 어두운 난은 신고인이 적지 않습니다.※ [ ]에는 해당되는 곳에 “√” … 더 읽기

고용보험 자격상실 코드 참고

고용보험 자격상실 코드 참고

고용보험 자격상실 코드 참고 국민연금 “자격상실일”란에는 자격상실사유 발생일(해당 사업장에서의 퇴직일, 사망일 등)의 다음 날을 기재합니다. 다만, 자격상실사유가 사업장간의 전출인 경우에는 상대 사업장에서의 자격취득일인 전입일과 같은 일자를 기재하십시오.(예)- 퇴직일/상실일 : 1월31일/2월1일, 1월30일/1월31일, – 사망일/상실일 : 2월1일/2월2일 고용보험 <상실일> 사유발생일의 다음날예) 퇴직시: 퇴직일 다음날 (퇴사일 2002.12.31 → 상실일 2003. 1. 1) <상실(이직)사유코드>※ 상실(이직)사유는 반드시 구체적 사유를 구분코드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