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화] 아동안전 문화 확산(한국보건복지인재원)

오늘의 안전문화는 아동안전 교육 및 콘텐츠 개발을 통한 아동안전 문화 확산,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편입니다.

아동복지법 제31조(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육) 근거, 찾아가는 아동안전교육, 콘텐츠 개발ㆍ배포 및 안전문화 확산 캠페인을 통해 아동이 안전한 사회 기반 마련

주요활동 보기

6대 아동안전교육 전문강사를 양성하여 전국 만3세~5세 아동 대상 찾아가는 아동안전 교육, 종사자ㆍ보호자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전국 아동, 보호자, 종사자 대상자별 맞춤형 6대 안전교육(아동학대예방, 성폭력예방, 실종ㆍ유괴의 예방· 방지, 재난대비, 보건위생, 교통안전) 실시
17개 시ㆍ도 아동안전교육 전문강사 57명 양성ㆍ배치
5개년 어린이집ㆍ아동복지시설 49만명 아동대상 6대 안전교육 실시
5개년 어린이집ㆍ아동복지시설 27만명 종사자대상 이러닝 안전교수법 역량강화
아동학대예방, 응급처치 등 보호자 대상 안전교육으로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

  • 아동 및 보육 전공 또는 보육교사 유경력 57명의 전문 강사가 전국 17개 시ㆍ도 내 어린이집 및 아동복지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6대 아동안전 영역 중심으로 전문 강사가 기본교안 및 체험용 교구를 활용하여 전국 만 3~5세 49만명 아동대상 안전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 코로나-19 또는 도서지역 등 방문교육이 불가한 지역의 아동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비대면 교육을 도입하고, ’23년 550기관 중 장애통합 84개소, 도서벽지 65개소를 선정하여 안전교육 취약기관 비율을 30%로 확대하여 교육 사각지대를 해소하였습니다.
  • 가정 내 아동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보호자 대상 생활안전, 응급처치 및 아동학대예방 분야에 대한 맞춤형 교육 기획 및 운영하여 총 27회 비대면-실시간 교육을 하였습니다.
  • 종사자 대상 보편화된 영역별 교수법 가이드 필요에 따라, 종사자를 위한 아동안전 교수법 이러닝 등을 개발하여 운영하였고, 5개년 누적 270,596명이 수료하였습니다.

아동안전 콘텐츠 개발, 온라인 플랫폼 및 현장 배포를 통해 현장 종사자 안전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 영ㆍ유아부터 초ㆍ중ㆍ고까지 아동안전 교육 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매년 개발 및 보완했고, PPT, 활동지, 동영상 등 시청각 자료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학습지도안과 가정연계 활동지 871개를 아동안전교육센터 플랫폼을 통해 116,239회 상시 제공하였습니다.
  • ‘21년 아동양육시설, 일시보호시설, 아동상담소 74기관 교육자료 1,770부, ‘22년 가정어린이집 등 총 776기관, 13448부 교육자료를 제공하여 누구나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편적 안전교육 실현에 노력하였습니다.

아동안전 민ㆍ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콘텐츠 공동활용, 취약계층 안전용품지원 및 안전약속 캠페인을 통해 대국민 인식 개선에 노력하였습니다.

  • 2018년부터 아동안전 민ㆍ관 13개 유관기관 협력 ‘아동안전교육협의체’를 구성하여 아동안전 위협요인 대응 및 6대 안전영역 콘텐츠 공동활용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 저소득층 가정 내 아동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시군구 드림스타트 센터(약 229개소)와 연계 및 협의체 기관 후원으로 5개년 동안 17,312가구 대상 우리 집 안전점검 체크 리스트 및 안전 용품(워크북, 약품 등)을 제공하여 가정 내 안전 점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 아동권리보장원, 육아방송, 해양경찰청 등 협의체 기관 및 경찰청, 건강보험공단 등 전문기관과 협업하여 12건 캠페인을 기획하고 공동 배포하였으며, 동아일보 등 주요 일간지 28회 게재, SNS 홍보를 하여 대국민 안전 인식제고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성과 보기

  • 도서지역 등 교육인프라 취약기관으로 안전교육 확대하여 안전사각지대 해소
  •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배포하여 현장 종사자의 아동 대상 안전교육 지원 강화
  • 민ㆍ관 협업으로 취약계층 안전물품지원, 안전 캠페인 등 아동안전문화 확산

원문 다운받기

2023년 안전문화 유공 공모전 우수사례집은 행정안전부 – 정책자료 – 참고자료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관련 자료도 많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내용 보기

2023 안전문화 유공 공모전 결과 우수사례에 선정된 내용을 모아 우수사례집을 만들었습니다.  
우리 사회 각 분야 안전문화 활동을 장려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우수사례를 발굴ㆍ확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참고 바랍니다. 

○(지자체 부문)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강원특별자치도, 경남 하동군, 전북 고창군, 경북 포항시

○(민간기관 부문) HD현대인프라코어, 삼성SDI,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동서발전, (사)대한산업안전협회, 대한송유관공사, 
부산교통공사,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현대모비스(주), 새마을교통봉사대 남양주시지대, 
(사)재난구호사협회, 용산구시설관리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