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연말정산 주택임차차입금

2023년 귀속 키워드 연말정산 주택임차차입금

주택임차차입금 알아보기

(개요)

–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세대의 세대주

국민주택규모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임차하기 위하여

– 대출기관 또는 대부업 등을 경영하지 아니하는 거주자로부터 주택임차자금(전세금 또는 월세보증금)을 차입하고 차입금의 원리금을 상환할 경우

상환금액의 40%에 상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

* 세대주가 주택임차차입 원리금 상환액, 주택마련저축 및 장기주택 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를 받지 않은 경우, 세대 구성원 중 근로소득자도 공제 가능 * 임대차 계약증서는 소득공제를 받은 근로자 명의로 작성해야 함 * 대부업을 영위하지 않는 법인, 각종 공제회 등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은 소득공제 적용대상 아님

☞ 주택마련저축 공제금액과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금액 합계 400만원 한도

대출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의 요건

① 임대차 계약증서의 입주일과 주민등록표 등본의 전입일 중 빠른날부터 전후 3개월 이내에 차입한 자금일 것

임대차 계약을 연장·갱신하면서 차입하는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연장일·갱신일로부터 전후 3개월 이내에 차입

– 소득공제를 받고 있는 사람이 다른 주택으로 이주하는 경우 이주하기 전 주택의 입주일과 주민등록표 등본의 전입일 중 빠른날부터 전후 3개월 이내에 차입한 자금 포함

② 차입금이 대출기관에서 임대인의 계좌로 직접 입금될 것

대부업 등을 경영하지 아니하는 거주자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의 요건

①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5천만원 이하인 근로자

② 임대차 계약증서의 입주일과 주민등록표 등본의 전입일 중 빠른날부터 전후 1개월 이내에 차입한 자금일 것

임대차 계약을 연장·갱신하면서 차입하는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연장일·갱신일로부터 전후 1개월 이내에 차입한 자금 포함

– 소득공제를 받고 있는 사람이 다른 주택으로 이주하는 경우 이주하기 전 주택의 입주일과 주민등록표 등본의 전입일 중 빠른날부터 전후 1개월 이내에 차입한 자금 포함

③ 2.9% (’23.3.19.이전 1.2%) 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한 자금이 아닐 것

키워드 연말정산 다운받기

댓글 남기기